안녕하세요.~^^
육아휴직이 곧 끝나고 복직이 코앞에 다가 왔어요.
터울 있는 둘째를 어린이집에 보내야 해서 서서히 적응기간을 갖고 있어요.
아이가 건강하게 잘 다닐 수 있기를 바라지만
제마음데로 되는건 아니라
혹 아팠을때 당연히 집에서 휴식을 취할수 있음 좋지만 맞벌이에겐 힘든 일이잖아요.
그래도 다른 아이에게 피해를 주면 안되니
점염성 질병은 미리 알고 있어야 될것같아요.

아래와 같은 전염병은 어린집이나 유치원 휴원을 요해요.
◆ 수족구병
증상으로 38도정도의 고열이 있을 수 있고 혀나 손바닥, 발바닥에 수포가 생겨요.
3~6일간의 잠복기가 있어요.
주요 증상이 없어질 때까지 격리를 해야해요./ 병원에서 등원해도 된다는 확인증을 요할수도 있어요.
◆전염성설사
증상으로는 변이 물과 비슷하고, 잦은 횟수로 설사를 해요. 발열, 감기증상을 동반해요.
2~4일간의 잠복기가 있어요.
주요 증상이 없어질 때까지 격리가 필요해요.
◆ 농가진
초기증상으로 얼굴이나 손, 발에 쌀알 크기의 발진, 수포가 생겨요.
2~5일간의 잠복기가 있어요./ 여름에 모기 물려서 심하게 긁었을 경우 농가진으로 발병될 수 있으니 주의해야되요.
딱지가 다 떨어질 때까지 격리를 해야해요.
◆수두
초기증상으로 발열, 발진, 물집이 생겨요.
10~21일간의 잠복기가 있어요.
딱지가 떨어질 때까지 격리가 필요해요.
◆유행성 결막염
증상으로 눈꼽이 많이 끼고 눈의 흰자위가 빨갛게 충혈되고, 눈이 붓기도 해요.
7일간의 잠복기가 있어요.
증상이 없어질때까지 격리가 필요해요.
◆뇌막염
증상으로 고열, 구토, 두통, 전신에 보라색 반점이 나타나거나 심한경우 의식의 혼동이 올 수 있어요.
14~21일간의 잠복기가 있어요.
증상이 없어질 때까지 격리가 필요해요.
◆독감 인플루엔자
증상으로는 고열, 기침, 콧물의 감기 증상이 있어요.
1~4일간의 잠복기가 있어요.
해열제 복용 없이 정상체온을 48시간이상 유지 할때까지 휴원이 필요해요.
◆백일해
초기증상으로 심하게 기침을 하나 열은 없어요.
7~14일간의 잠복기가 있어요.
기침이 사라질 때까지 격리가 필요해요.
◆장티푸스
증상으로 혀에 백태가 끼고, 혈변을 볼 수 있어요. 두통이 있고 헛소리를 하기도 해요.
1~3주간의 잠복기가 있어요.
완치 될 때까지 격리가 필요해요.
◆볼거리(유행성이하선염)
증상으로 귀밑이 부어오르는게 특징이고 발열이 있어요.
7~21일간의 잠복기가 있어요.
부었던 귀밑 붓기가 다 빠질 때까지 격리가 필요해요.
◆전염성홍반
증상으로 얼굴과 볼에 발진이 생기고 열은 거의 없으나 간혹 37도정도의 미열이 나타날 수 있어요.
7~14일간의 잠복기가 있어요.
급성 증상이 없어질 때까지 격리가 필요해요.
◆홍역
증상으로 발열, 재채기, 결막염, 발진이 일어나요.
9~13일간의 잠복기가 있어요.
발진이 없어질 때까지 격리가 필요해요.
◆풍진
증상으로 발열과 발진이 일어나고 약한 감기증상이 있어요.
10~21일간의 잠복기가 있어요.
증상이 없어질 때까지 격리가 필요해요.
◆콜레라
증상으로 발열, 구토, 매우 묽은 설사, 탈수 증세가 있어요.
1~5일간의 잠복기가 있어요.
완치 될 때까지 격리가 필요해요.
수족구, 농가진, 수두, 유행성결막염, 독감은 어린이집 전염병으로 드물지 않게 볼 수 있어요.
항상 위생에 신경 써서 손을 잘 씻을 수 있도록 해주어 조금이나마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게 중요해요.
전염성이 강한 질병이라서 증상이 보였을 시 빠르게 병원 진료를 받고 꼭 휴원하여 격리할 수 있도록 해주세요.
어린이집이나 유치원에서 의사의 완치 됐다는 소견서를 원에 제출을 요할 수 있어요.
예쁜 우리아기가 안 아프고 건강하게 쑥쑥 자라기만을 바라지만
어쩔 수 없는 전염병에 노출 되어 감염되었을 시
미리 이러한 어린이집 휴원을 요하는 전염병들을 알고 현명한 대처를 할 수 있도록해요.
오늘도 좋은 하루 되세요.^^
'정보노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당뇨정상수치/ 당뇨병 증상, 원인/당뇨병 치료방법/당뇨병 예방방법 (0) | 2021.07.22 |
---|---|
역류성식도염 증상과 원인, 예방법/역류성식도염에 좋은 음식 (0) | 2021.07.21 |
식중독 증상과원인 예방법 (0) | 2021.07.19 |
주식초보를 위한 주식용어 (0) | 2021.07.18 |
장염의 증상, 원인, 장염에 좋은 음식 (1) | 2021.07.16 |
댓글